본문 바로가기
life-info

🚫 관세전쟁 리스크 업종|지금 조심해야 할 분야는?

by infomaxblog 2025. 4. 10.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검토하면서, 글로벌 증시가 다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업종은 관세 이슈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 리스크 회피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관세전쟁 국면에서 지금 당장 피해야 할 고위험 업종 4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

 

 

★ 함께 읽어야할 시리즈글

👉 💥 미국 관세전쟁 다시 점화|중국 전기차부터 한국 수출까지, 세계경제 흔든다
👉 📉 관세전쟁에 강한 종목 TOP5|2025년 투자자들이 주목할 기업은?
👉 💼 관세전쟁 회피 전략|개인 투자자를 위한 해외 ETF 포트폴리오 가이드
👉 📦 미국 vs 중국 관세 비교표|전기차·반도체 분야별 관세 현황 정리
👉 🌎 글로벌 공급망 변화 지도|어디로 옮기고, 누가 살아남나?

 

관세전쟁 리스크 업종|지금 조심해야 할 분야는?

 

1. 중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중소 제조업체

  • 스마트폰 부품, LED 모듈, 디스플레이 관련 중소 부품사들
  • OEM·ODM 위주로 중국 공장에 의존하는 구조
  • 관세 부과 시, 원가 상승 → 마진 악화 → 수익성 급락 가능
  • 대표 사례: 일부 부품 전문 중소형 코스닥 기업

2. 전기차 부품 납품 업체 (중국 중심 고객사 보유)

  • 중국 내 EV 브랜드(비야디, 샤오펑 등)에 납품하는 배터리·모터 업체
  • 미국 수출 채널이 간접적으로 차단될 수 있음
  • 관세로 중국 EV 브랜드가 미국에서 퇴출될 경우, 납품 물량 급감 가능성
  • 대표 사례: 2차전지 소재 소형주, 중소 EV 부품사

 

 

3. IT 소재·장비 중 중국 매출 비중 과다 종목

  • 반도체 소재, 디스플레이 장비 기업 중 중국 비중이 40~60% 이상인 경우
  • 중국 반도체 생산 자체가 위축될 경우, 고객사 발주 감소
  • 미국 규제로 중국 반도체 산업 타격 → 연쇄 피해
  • 대표 사례: 에칭가스, CMP 패드, 웨이퍼 장비 관련 소형주

4. 글로벌 소비재 OEM 생산 기업

  • 미국 의류·가전·완구 브랜드의 제품을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OEM 업체
  • 관세 상승 시 미국 수요 감소 → 발주량 감소
  • 특히 단일 브랜드 의존도가 높은 경우 리스크가 큼
  • 대표 사례: 특정 브랜드 위탁생산 의존형 OEM 기업

 

📉 투자자 주의 포인트

  • 중국향 수출 비중 30% 이상이라면 상세 분석 필수
  • 생산 거점 구조, 고객사 국적, FTA 활용 여부 등도 리스크 판단 기준
  • 단기적 반등보다 중장기 안정성 중심의 종목 선별이 중요